‘월 300만원 버는 주식투자 공식’에서 PIR지수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다.
책을 읽으며 Input, 후기를 작성하며 Output을 내는 연습을 하고 있기에
이번에 알게된 개념 상세히 짚고 넘어가기
Chpt1. PIR지수, 주택가격과 소득의 비율
PIR지수 : 주택 가격을 가구의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,
예를 들어, 특정 지역의 평균 주택 가격이 6억원이고,
평균 연소득이 1억이라면, PIR지수는 6으로 계산된다.
즉, 해당 가구는 연소득을 모두 모아야 6년후 주택을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!
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PIR지수는 12.7 라고 하지만,
이게 1억이라고 가정했을 때 12.7년동안 전혀 쓰지 않고 모은다는 개념인데, 가정 자체가 현실적이진 않다..! ✋🏻
PIR 지수를 좀 더 상세히 최근 공시된 데이터를 통해 알아보았다.
Chpt2. KB부동산데이터허브 - 주택가격동향조사에서 PIR 알아보기
해당 사이트에서는 소득분위별 주택분위별로 PIR지수를 정리해두었다.
실질적으로 PIR 지수를 확인하기 전에 소득 분위 먼저 파악이 필요하다.
하나. 소득분위 확인하기
**소득분위: 소득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눈 등급이며,
보통 5분위 소득분위 기준으로 나누게 된다.
1분위 : 최저소득층 : 소득 중 가장 낮은 20%
2분위 : 저소득층 : 하위 20-40% 해당
3분위 : 중위 소득층 : 중간 20% 소득계층
4분위: 고소득층 : 상위 20-40% 계층
5분위 : 최고 소득층 : 전체 가구 중 소득이 가장 높은 20%
이에 따라, 최근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한 바,
<2024.3분기 기준 - 근로자가구 기준>
근로소득 1분위 : 2,059,341
근로소득 2분위 : 3,995,174
근로소득 3분위 : 5,288,343
근로소득 4분위: 7,158,406
근로소득 5분위: 11,712,491
정도로 나타나게 된다.
둘. PIR 지수로 역산해보기
2024.11월 업데이트 되어있는 자료로 확인하자면
✔️ 전국기준으로는,
소득 3분위 기준으로 주택 5분위를 구매하는데에 16.89년
주택 4분위를 구매하는데에 7.19년
주택 3분위를 구매하는데에 4.54년
이라고 보여진다. 정말이지 주택5분위의 경우 상위 20% 일테지만, 어언 17년이라니.
그런데다가 연봉을 일체 소비하지않고 투자해야한다니 매우 현실감이 떨어지는 계산..
내 생각으로는 소득 3분위 기준으로 주택 3분위를 구매하는데에는 7.19년(주택 4부위 PIR값) ,
주택 4분위를 구매하는데에 16.89년(주택 5분위 PIR값)이 보다 가까운 계산이지 않을까 싶다.
✔️ 이번에는 잠실, 서울 아파트로 알아보려고 한다.
소득 3분위 기준으로 주택 5분위를 구매하는데에 32.18년
주택 4분위를 구매하는데에 14.97년
주택 3분위를 구매하는데에 9.82년 이라고 한다.
소득 3분위 금액이 연봉 기준으로 약 8000만원정도에 해당되기에,
8000만원을 버는 사람이 주택 4분위 정도로, 보다 상급지를 사고자 할 경우,
아무것도 쓰지 않고 15년을 모아야 구매가능하다고 한다..!!!
셋. PIR지수로 부동산 가격추이 확인해보기
위 기준과 동일하게 PIR지수를 소득 3분위 기준으로 확인해보았다
작년 2024.4월부터 9월까지 주택 5분위를 위한지수는
31.97 로 시작해 32.22를 찍고 32.18로 최고가를 경신중이다.
8000만원의 연봉으로 가정했을 때,
25억 5천가량 에서 25억 7천 가량수준으로 계산해볼 수 있지 않을까..?

오늘의 한마디
현타가 좀 많이 오는 오늘의 계산. 하지만 부동산과 소득관의 관계를 알아보기에는 좋은 지표같다!
'부동산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매매수급지수로 매도시기 살펴보자 (0) | 2022.07.09 |
---|---|
상생임대인으로 비과세! 실거주 의무혜택 받아요 (0) | 2022.07.09 |
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해제되면 부동산이 어떻게 되나요? (0) | 2022.07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