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월 300만원 버는 주식투자 공식’에서 PIR지수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다. 책을 읽으며 Input, 후기를 작성하며 Output을 내는 연습을 하고 있기에이번에 알게된 개념 상세히 짚고 넘어가기 Chpt1. PIR지수, 주택가격과 소득의 비율PIR지수 : 주택 가격을 가구의 연소득으로 나눈 값으로, 예를 들어, 특정 지역의 평균 주택 가격이 6억원이고, 평균 연소득이 1억이라면, PIR지수는 6으로 계산된다. 즉, 해당 가구는 연소득을 모두 모아야 6년후 주택을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!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PIR지수는 12.7 라고 하지만, 이게 1억이라고 가정했을 때 12.7년동안 전혀 쓰지 않고 모은다는 개념인데, 가정 자체가 현실적이진 않다..! ✋🏻PIR 지수를 좀 더 상세히 최근..